‘K배터리’의 유럽 시장 공략: 희망과 도전

최근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중국의 독무대였던 유럽 시장을 뚫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이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 대규모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유럽 시장 진출 현황과 그 도전 과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LG에너지솔루션의 르노 수주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르노와의 계약을 통해 2025년 말부터 2030년까지 39GWh 규모의 파우치형 LFP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약 59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중저가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셈입니다. 특히, 르노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산 배터리를 선택함으로써 유럽 시장에서의 한국 배터리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2. 중국의 시장 주도권과 한국의 도전

지금까지 중국 기업들은 배터리 가격 주도권을 쥐고 있었습니다. CATL과 BYD 등의 중국 업체들은 LFP 배터리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고, 한국 업체들은 주로 삼원계(NCA) 배터리에 집중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LG에너지솔루션의 성공적인 수주로 인해 한국 배터리 업체들도 LFP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3. 유럽과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유럽연합(EU)과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 및 배터리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면서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습니다. EU는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최대 38.1%로 인상했고, 미국도 2026년부터 중국산 ESS용 배터리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보호무역 정책은 한국 배터리 업체들에게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4. 다양한 시장 진출 노력

삼성SDI와 SK온도 2026년을 목표로 LFP 배터리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삼성SDI는 미국 넥스트에라에너지에 대규모 ESS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북미 시장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공장과 중국 난징 공장의 일부 생산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는 등 다양한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5. 남아있는 과제와 전망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수주가 늘고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과제도 많습니다. 특히, 유럽과 미국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중국 기업들의 시장 집중화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에게 큰 도전 과제입니다. 또한, 2025년까지 이어질 전기차 수요 침체(캐즘)와 이에 따른 공장 가동률 저하도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그러나 테슬라와의 협력 등 긍정적인 신호도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